티스토리 뷰
목차
근로소득 신고 놓치면 세금 몇 백만원 더 낼 수 있습니다! 특히 일용근로자는 올바른 신고방법을 모르면 큰 손해를 보는데, 이 글만 보면 5분 안에 완벽 정리됩니다. 2025년 달라진 기준까지 한 번에 확인하세요.
근로소득이란 완벽정리
근로소득은 근로를 제공하고 받는 모든 대가를 의미합니다. 월급, 상여금, 수당뿐만 아니라 현물급여,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까지 포함되며, 2025년부터는 비과세 한도가 월 20만원으로 확대되었습니다. 프리랜서라도 사업소득이 아닌 근로소득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으니 정확한 구분이 필요합니다.
근로소득 종류별 완벽가이드
정기급여 (월급, 연봉)
매월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기본급, 각종 수당이 해당됩니다. 원천징수 대상이며 연말정산으로 최종 세액을 정산합니다.
상여금 및 성과급
분기별, 연간 지급되는 보너스와 성과급으로 별도 세율이 적용됩니다. 300만원 초과분은 다음 달 급여와 합산해서 세금을 계산합니다.
현물급여 및 경제적 이익
회사 차량, 주거지원, 식사대 등 금전이 아닌 형태로 받는 모든 혜택입니다. 시가로 환산해서 근로소득에 포함되며 월 20만원까지 비과세됩니다.
일용근로자 세금 절약팁
일용근로자는 일 15만원, 월 450만원까지 소득세가 면제됩니다. 하지만 건설업, 제조업 등에서 일하다가 이 금액을 넘으면 바로 다음 달부터 원천징수가 시작되니 미리 계산해두세요. 또한 3개월 이상 같은 사업장에서 일하면 비과세에서 과세로 변환되어 일반 근로자로 분류되어 더 많은 세금을 낼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놓치면 손해보는 신고요령
근로소득 신고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한 소득 분류와 공제항목 챙기기입니다. 특히 일용근로자는 사업소득으로 잘못 신고하면 세금이 2-3배 늘어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발급받아 보관하기 (5년간)
- 일용근로자도 연말정산 대상인지 확인하기
- 현물급여는 시가 기준으로 정확히 계산하기
근로소득 세율표 한눈에
근로소득 구간별 세율과 일용근로자 비과세 기준을 정리했습니다. 본인 소득 수준에 맞는 세율을 확인해서 세금 계획을 세우세요.
| 소득구분 | 과세구간 | 세율 |
|---|---|---|
| 일용근로자 | 일 15만원 이하 | 비과세 |
| 일반근로자 | 4,600만원 이하 | 15% |
| 일반근로자 | 8,800만원 이하 | 24% |
| 일반근로자 | 1억,5천만원 이하 | 35% |